반응형
반응형
컴퓨터 블루스크린(Blue Screen) 원인과 해결법, 전문가처럼 점검하는 방법
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비규칙적으로 블루스크린(Blue Screen of Death, BSOD)이 발생하면
당황스럽고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.
특히 부팅 초기 단계에서 자주 뜨거나, 한두 번 뜬 뒤에는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면
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원인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블루스크린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때 직접 점검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
1. 최근 하드웨어·소프트웨어 변경 내역 확인
- 블루스크린이 발생하기 전
새 하드웨어(메모리, SSD, 그래픽카드 등)를 장착했거나 새로운 드라이버, 프로그램을 설치했다면
해당 하드웨어/소프트웨어를 제거하거나 원상복구 후 테스트해보세요. - 불필요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은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
2. 안전 모드로 부팅해보기
- 안전 모드는 윈도우가 최소한의 드라이버로 부팅되는 환경입니다.
- 안전 모드에서도 블루스크린이 발생한다면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안전 모드에서는 문제가 없다면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 충돌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3. 장치 관리자 및 드라이버 점검
- **장치 관리자(Win+X → 장치 관리자)**에서
느낌표(!)가 있는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세요. - 그래픽카드, 메인보드, 네트워크 등 주요 드라이버는
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. - 문제가 계속된다면 해당 장치 드라이버를 삭제 또는 비활성화해보세요.
4. 메모리(RAM) 점검 및 청소
- 메모리 접촉 불량이나 불량 램은
부팅 초기에 블루스크린을 유발하는 대표적 원인입니다. - 컴퓨터 전원을 끄고 메모리를 분리한 뒤 접점 부분을 지우개 등으로 닦아 재장착해보세요.
-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(검색창에 ‘메모리 진단’ 입력)로 램 불량 여부도 점검하세요.
5.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
- **명령 프롬프트(관리자 권한)**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.
-
textsfc /scannow DISM.exe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
- 손상된 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.
6. 저장장치(SSD/HDD) 점검
- 저장장치의 여유 공간이 10~15% 이상 남아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SSD/HDD 불량도 블루스크린 원인입니다.
- CrystalDiskInfo 같은 무료 진단 프로그램으로 저장장치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보세요.
7. 윈도우 및 드라이버 최신 업데이트
- 설정 > Windows 업데이트에서
최신 윈도우 보안 패치와 드라이버를 모두 설치하세요.
8. 바이러스·악성코드 검사
- 신뢰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으로 전체 검사를 진행해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하세요.
9. 시스템 복원 또는 초기화
-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으면 시스템 복원(복원지점)이나 윈도우 초기화를 시도해보세요.
10. 수리업체 방문 시점
- 모든 점검을 했음에도 블루스크린이 계속된다면
메인보드, 메모리, 저장장치 등 하드웨어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 - 이 경우에는 신뢰할 수 있는 컴퓨터 수리업체에 점검을 의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요약
- 최근 하드웨어/소프트웨어 변경 확인
- 안전 모드 부팅
- 장치 관리자 및 드라이버 점검
- 메모리 점검 및 청소
- 시스템 파일 검사
- 저장장치 상태 확인
- 윈도우/드라이버 업데이트
- 바이러스 검사
- 복원 또는 초기화
- 그래도 해결 안 되면 수리업체 방문
이 순서대로 점검하면
대부분의 컴퓨터 블루스크린 문제를 직접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.
특히 부팅 초기에 자주 발생한다면 메모리나 저장장치 불량 가능성이 높으니
꼭 점검해보시고, 필요 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.
728x90
반응형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, 한 은행에서 신청하면 모든 은행과 저축은행도 차단될까? 신청 방법과 적용 범위 총정리 (3) | 2025.04.28 |
---|---|
맥북 M1 macOS 업데이트 후 캐논 R5m2 RAW 파일 미리보기(스페이스바, Quick Look) 안 될 때 해결법 (0) | 2025.04.27 |
일반인 KTX 수동 휠체어석 예매 후 호차 사이에서 대기하면 어떻게 될까? (0) | 2025.04.27 |
유심(USIM) 초기화, 사라지는 정보·비용·혜택 유지 등 궁금증 총정리 (0) | 2025.04.27 |
드라마 <약한영웅 Class 2> 나백진 죽음의 이유, 원작과의 차이점은? (1) | 2025.04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