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반응형
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결 끊기, 암호를 모를 때 해결법 총정리
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윈도우에 로그인하다가 계정 연결을 끊고 싶지만, 암호를 잊어버려서 진행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 비밀번호를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변경해도 컴퓨터에서는 “암호가 아니라고 뜬다”거나, 장치 등록 페이지에 들어가도 등록된 장치가 없다고 나와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암호를 모를 때 계정 연결을 끊는 방법과, 비밀번호 변경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원인, 그리고
실제 해결 절차를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
1.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로컬 계정의 차이
윈도우10, 윈도우11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(이메일 로그인)과 로컬 계정(PC에만 존재하는 계정) 두 가지 방식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
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클라우드 동기화, 원드라이브, 앱스토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지만, 계정 연결을 끊으려면 현재 암호 입력이 필수입니다.
로컬 계정은 별도의 이메일 인증 없이 PC에서만 사용하는 계정으로, 보안상 위험은 적지만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2. 비밀번호 변경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
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비밀번호를 변경해도,
PC에서 “암호가 아니라고 뜬다”면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인터넷 연결 불안정:
PC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와 동기화가 되지 않아 변경된 비밀번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. - 동기화 지연:
비밀번호 변경이 PC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보통 5~10분 이내 반영되지만,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. - 다른 계정 로그인:
실제로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아니라 로컬 계정일 수 있으니,
로그인 화면에서 계정 종류를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.
3. 암호를 모를 때 계정 연결 끊는 방법
1) 비밀번호 재설정
- 마이크로소프트 비밀번호 재설정 페이지에 접속하여
본인 인증(이메일, 휴대폰, 인증 앱 등) 후 비밀번호를 재설정하세요. - 재설정 후 PC를 재부팅하고, 새 비밀번호로 로그인합니다.
2) 로컬 계정으로 전환
- 설정 > 계정 > 내 정보 >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메뉴에서
로컬 계정 전환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.
이 과정에서도 현재 암호 입력이 필요합니다.
3) 관리자 계정 활용
- 만약 PC에 관리자 권한을 가진 다른 계정이 있다면,
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하여
암호 재설정 또는 기존 계정 삭제가 가능합니다. - 제어판 > 사용자 계정 > 다른 계정 관리에서
암호 변경 또는 계정 삭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4) 안전 모드 진입
- 안전 모드로 부팅 후,
**명령 프롬프트(관리자)**에서
net user 사용자이름 새암호 명령어로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단, 이 방법은 일부 윈도우 버전에서 제한될 수 있습니다.
4.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장치 등록이 안 보일 때
-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장치 관리 페이지에서
등록된 장치가 없다고 나와도,
윈도우 로그인에 사용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라면
여전히 PC에서는 해당 계정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. - 장치 등록이 안 보인다고 해서 계정 연결이 자동 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.
5. 계정 연결을 꼭 끊어야 할 때의 최후의 방법
- 모든 방법이 안 통할 경우
윈도우를 초기화(재설치)하면
계정 연결이 해제되지만,
이 경우 데이터가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
중요한 파일은 반드시 백업하세요. -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 문의:
본인 인증이 어렵거나, 계정 복구가 불가능할 때는
마이크로소프트 공식 고객센터에 문의해
신원 확인 및 계정 복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.
결론 및 요약
-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결을 끊으려면 반드시 암호를 알아야 하며,
암호를 모를 경우 비밀번호 재설정, 로컬 계정 전환, 관리자 계정 활용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야 합니다. - 비밀번호 변경이 적용되지 않으면 인터넷 연결, 동기화 상태, 계정 종류를 재확인하세요.
- 모든 방법이 막히면 윈도우 초기화나 고객센터 문의가 최후의 수단입니다.
- 계정 관리와 비밀번호는 꼭 안전하게 보관하고,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
728x90
반응형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드라마 <약한영웅 Class 2> 나백진 죽음의 이유, 원작과의 차이점은? (1) | 2025.04.27 |
---|---|
PASS 명의도용방지서비스, SKT 해킹 사태 이후 가입해도 괜찮을까? (1) | 2025.04.27 |
쁘넥(갤럭시 Z 플립 액세서리) 재입고, 정말 풀렸었나? 트위터 소문과 실제 재입고 일정 완벽 분석 (0) | 2025.04.26 |
갤럭시 S23 유심 크기, 기존 유심이 안 맞을 때 해결법 – 중고폰 유심 호환 완벽 가이드 (2) | 2025.04.26 |
SKT 에이닷(A.) 사용, 문자 오류 해결에 도움이 될까? – 삼성 갤럭시 문자 중복 수신 문제와 에이닷 활용성 분석 (0) | 2025.04.26 |